🔍 글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글은 타입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책과 유데미 타입스크립트 강의를 공부하여 정리한 글입니다.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알려주세요! 타입 리터럴이란? 책에서는 오직 하나의 값을 나타내는 타입이라고 소개하고 있다. 모든 곳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실수를 방지해 안전성을 확보해 주는 강력한 언어 기능이라고 부연 설명을 해주고 있다. 나는 말 그대로 값을 타입으로 사용하는 것이라고 이해했고 큰 어려움이 없는 개념이었다. let answer: true = true; answer = false; // Type 'false' is not assignable to type 'true'. 위 코드처럼 answer의 타입을 true로 지정하면 이후 값을 변경하지 못한다. const와 같은 역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