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ront-End/TypeScript 12

타입스크립트[TypeScript] | 타입 리터럴 사용해서 필수 값 지정하기

🔍 글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글은 타입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책과 유데미 타입스크립트 강의를 공부하여 정리한 글입니다.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알려주세요! 타입 리터럴이란? 책에서는 오직 하나의 값을 나타내는 타입이라고 소개하고 있다. 모든 곳에서 일어날 수 있는 실수를 방지해 안전성을 확보해 주는 강력한 언어 기능이라고 부연 설명을 해주고 있다. 나는 말 그대로 값을 타입으로 사용하는 것이라고 이해했고 큰 어려움이 없는 개념이었다. let answer: true = true; answer = false; // Type 'false' is not assignable to type 'true'. 위 코드처럼 answer의 타입을 true로 지정하면 이후 값을 변경하지 못한다. const와 같은 역..

타입스크립트[TypeScript] | 왜 써야할까? (+ 여러 type에 관하여)

🔍 글을 시작하기 전에 해당 글은 타입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책과 유데미 타입스크립트 강의를 공부하여 정리한 글입니다. 수정해야 할 부분이 있다면 언제든지 알려주세요! TypeScript를 왜 써야 하는가? 책에서는 타입을 사용함으로써 오류를 미리 감지하고 일부 런타임 오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닐라 JS보다 유용하다고 소개하고 있다. 나는 자바스크립트만을 사용해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큰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다. 오류가 발생하면 방법을 찾아 해결하는 것은 당연하게 여기며 프로젝트를 완수했다. 그리고 타입스크립트가 거의 필수로 여겨질 때쯤 원티드 프론트엔드 프리온보딩 코스를 진행하면서 반 강제적으로 타입스크립트를 사용하여 프로젝트를 진행했었다. 그 뒤부터는 항상 나의 프로젝트엔 타입스크립트를 필수로 사..